[상보]미국 뉴욕증시, AI-반도체 투자 확산에 나스닥 1.2% 급등...금리 인하 늦춰지자 다우는 하락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5조~7조 달러(약 6600조~9300조 원)의
펀딩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가 나와 AI와 반도체 종목에 대한 기대감을 자극
연준이 5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8.5%로 낮아져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2-10 07:25:16

▲미국 뉴욕증시는 9일(현지시간) 테크 기업 실적과 투자 열풍에 나스닥이 급등세를 보인 반면 금리 인하 시기가 뒤로 밀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다우는 하락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의 S&P500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종가 기준으로 5,000을 돌파하며 쾌조의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하지만 다우지수가 하락세로 돌아서며 3대 지수는 혼조세를 보였다.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서도 나스닥과 반도체 지수에 포진한 기술주들이 실적을 앞세워 급등세를 보이며 시장 분위기를 이끄는 모습이었다.

 

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4.64포인트(0.14%) 하락한 38,671.69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8.70포인트(0.57%) 오른 5,026.6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96.95포인트(1.25%) 상승한 15,990.66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89.29포인트(1.99%) 급등한 4,567.30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3.5% 상승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2.1%, AMD 1.8%, 마이크로소프트 1.5%, 아마존닷컴 2.7%, 애플 0.4%, ARM 1.0%, 구글의 알파벳 2.1%, 코인베이스 7.1%, 넷플릭스가 0.5%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메타는 0.4%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에도 3일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4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07%포인트(0.7bp) 상승한 4.177%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8%포인트(2.8bp) 상승한 4.484%를 가리키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S&P500지수는 5주 연속 올라 마감가 기준으로도 5,000고지를 넘어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지수가 2021년 4월에 4,000을 넘어선 지 거의 3년 만이다. 나스닥지수는 16,000선에 바짝 다가서며 2021년 11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16,057.44에서 60포인트가량만을 남겨둔 상태다.

 

투자자들은 이날 소비자물가지수(CPI) 수정치 발표와 기업들의 실적 등을 주시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CPI를 전월 대비 0.2% 오른 것으로 수정했다. 당초에는 0.3% 올랐었다. 11월 수치는 전월 대비 0.1% 상승에서 0.2% 상승으로 수정했다. 이번 수정은 계절 조정인 전월 대비 수치를 연초에 수정하는 작업에 따른 것이다.

 

미국의 CPI는 전월 대비로 지난해 8월 0.5% 상승을 기록한 이후 9월 0.4%, 10월 0.1%, 11월 0.2%, 12월 0.2%로 추세적으로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12월 근원 CPI 수치는 전월 대비 0.3% 올라 기존 발표치와 같았다.

 

인플레이션이 계속 둔화할 경우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건은 인하 시점과 속도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올해 5월에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이 예상만큼 빠르게 내려오지 않을 경우 연준의 관망세는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준 당국자 대다수가 올해 3회가량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첫 금리 인하 시기가 하반기로 밀릴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전날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올해 75bp가량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면서, 12개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하를 늦추는 것은 "너무 오래 기다리는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6개월 기준으로는 연준이 선호하는 근원 개인 소비지출(PCE)가격지수는 연율 1.9%로 떨어져 연준의 목표치인 2%를 밑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중반께 이 수치가 12개월 기준으로도 연준의 목표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이날 한 공개 연설에서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 없다며 하반기쯤 25bp씩 두 번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 시기는 다소 뒤로 밀렸지만 예상치를 웃도는 기업 실적이 주가를 떠받치고 있는 양상이다. 전날 반도체 설계기업 Arm 홀딩스의 주가가 실적 호조에 하루 만에 48%가량 폭등하면서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강화됐다. 이날 Arm 홀딩스의 주가는 1%가량 올랐다.

 

AI 대장주인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3% 이상 올라 720달러를 넘어섰다. AI 기대감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서 시총 3조달러를 돌파하며 애플의 시총을 넘어섰다. 이날도 1% 이상 오르면서 시총은 3조1천200억달러까지 증가했다.

 

게다가 AI(인공지능)과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심리가 확산한 것이 최근 지수 상승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날에는 자체 AI 칩 개발을 추진 중인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5조~7조 달러(약 6천600조~9천300조 원)의 펀딩을 추진 중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와 AI와 반도체 종목에 대한 기대감을 자극했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펩시코는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3% 이상 하락했다. 핀터레스트는 분기 순이익은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매출 예상치에 대한 실망에 주가는 10% 가까이 하락했다. 어펌홀딩스의 주가는 실적에 대한 실망에 10%가량 하락했다. 깜짝 손실로 시장에 우려를 줬던 지역 은행 뉴욕커뮤니티뱅코프의 주가는 내부자들의 주식 매수 소식에 16% 이상 올랐다.

 

팩트셋에 따르면 5일 기준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 중에서 예상치를 웃도는 4분기 주당순이익(EPS)을 발표한 기업은 전체의 75%에 달한다. 이들은 평균 7.3%가량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날 기준으로는 예상치를 웃돈 EPS를 발표한 기업은 전체의 77%에 달한다.

 

이에 따라 당초 1월 19일 기준 지난해 4분기 EPS가 전년 대비 1.8% 줄어들 것이라던 예상이 5일 기준으로는 1.6% 증가할 것으로 수정됐다. 실적 침체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은 강한 경제 지표와 함께 주가를 떠받치는 데 일조하고 있다.

 

S&P500지수 내 기술, 임의소비재, 통신, 유틸리티 관련주가 오르고 에너지, 필수소비재 관련주는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증시에 긍정적이지만, 시장 가격에 반영된 만큼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정도로 성장이 둔화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메리프라이즈 파이낸셜의 앤소니 사글림벤 수석 전략가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현재의 서사는 이번 수정으로 바뀌지 않았으며 이는 시장에 긍정적이다"라며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더 낮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2%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은 연준이 올해 금리를 인하할 것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나 앞으로 성장세가 계속 "와일드카드"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실제 그러한 종류의 인하는 없었다"라며 "연준은 통상 성장이 예상보다 더 둔화하기 때문에 금리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17.5%를 기록했다. 5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8.5%로 낮아졌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