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오가는 경기도 버스 운행 중단되나...25일 노조-사측 담판 결렬시 불가피

파업 여부는 이르면 25일 밤, 늦어도 26일 새벽께 결정될 듯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04-25 06:12:59

▲ 경기도 버스의 파업 여부가 이르면 25일 밤, 늦어도 26일 새벽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경기도 전체 버스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35개 버스업체 노조의 파업 여부가 이르면 25일 밤 결정된다. 이에 따라 26일 서울을 오가는 경기도 버스 운행이 중단될 가능성도 있어 큰 불편이 예상된다.

 

25일 경기도 버스노조와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내 35개 버스업체는 이날 오후 5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사측과 2차 조정 회의를 진행한다. 노조는 현재 ▲ 시급 14.4% 인상 ▲ 완전 주 5일제 시행 등을 요구하고 있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26일 첫차부터 버스 운행이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시민 불편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2차 조정 회의는 지노위 마지막 조정절차다. 앞서 지난 15일 노사 간 1차 조정 회의가 열렸으나 양측의 견해차만 확인하고 마무리됐다.

 

협상에 참여하고 있는 도내 버스 업체는 35개 사며, 소속 버스는 7000여 대로 알려진다. 이는 도내 전체 버스의 43% 수준이다.

 

무엇보다도 이들 버스 중 2000여 대는 도내 곳곳에서 서울을 오가는 공공버스라는 점이다. 도내 전체 공공버스의 98%에 해당하는 규모로, 파업에 돌입하면 도내에서 서울을 오가는 주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파업 여부는 이르면 25일 밤, 늦어도 26일 새벽께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노조 관계자는 "경기지역 준공영제 버스 기사들의 임금은 같은 준공영제인 서울보다 월평균 42만원 적다"며 "일부 업체에서는 인력 부족으로 주 6일 근무를 하는 기사도 많아 조정 회의에서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 파업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버스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도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버스업체 소속 버스 1000여 대를 각 노선에 투입하고, 시군 협조를 얻어 전세버스 600여 대를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출퇴근 시간대 택시 운행을 최대한 확대하는 동시에 관용 버스도 가능한 수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버스를 활용하고, 마을버스 운행 증회·노선 조정 등을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