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실적 기대감에 힘찬 상승세 나스닥도 사상 최고치 경신하나
S&P500은 올해 들어 45번째로 최고치를 경신
경제 탄력성과 건강한 이익 성장세를 보여줘
엔비디아는 이날 2.43% 오르며 역대 최고치로 장을 마쳐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10-15 06:25:43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미 연방 공휴일인 콜럼버스데이(10월 둘째주 월요일)를 맞아 3대 지수 및 반도체 지수가 쾌조의 상승랠리를 펼쳤다. 이날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다시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18,671.07)에 근접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콜럼버스데이는 유럽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북미 대륙 도착을 기념하는 날로 1937년 처음 공휴일로 지정됐다. 하지만 원주민 역사에 대한 재평가와 정치적 논란의 여파로 기념을 중단한 기관들이 늘었고 조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이날을 '원주민의 날'로 선포하기도 했다. 이날 채권시장은 휴장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01.36포인트(0.47%) 오른 43,065.22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82포인트(0.77%) 상승한 5,859.8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59.75포인트(0.87%) 상승한 18,502.69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96.27포인트(1.80%) 급등한 5,432.21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1.6% 상승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2.4%, 마이크록소프트 0.6%, 메타 0.08%, 구글의 알파벳 1.0%, 테슬라 0.6%, ARM이 6.8%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아마존닷컴은 0.6%, 넷플릭스 1.3%, AMD가 1.5% 하락하며 마감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는 이날 법정 공휴일인 '콜럼버스의 날'을 맞아 채권시장은 휴장했으나 미국 주식시장은 개장한 가운데 이틀째 강세를 이어갔다. 실적 발표 기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주요 기업의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를 지탱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휴일인 만큼 시장을 좌우할 만한 주요 경제 지표가 발표되지는 않았다. 증시의 거래량도 평소보다 적었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은 실적 기대감을 갖고 주식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지난 10일 약보합을 기록한 것만 제외하면 3대 주가지수는 최근 5거래일간 뚜렷한 상승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다우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43,000선을 상향 돌파했다.
앞서 지난주 JP모건체이스와 웰스파고는 3분기 호실적과 상향된 실적 전망치를 공시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자극했다. 은행 실적은 월가가 해당 분기의 실적 성과를 가늠하는 선행 지표로 여기곤 한다. 오는 15일에는 뱅크오브아메리카와 골드만삭스, 존슨앤드존슨, 16일에는 모건스탠리와 유나이티드에어라인이 3분기 실적을 내놓는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에 속한 기업 중 30개 기업이 3분기 실적을 공개했으며 평균적으로 순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약 5% 상회했다. 이는 지난 분기 같은 시기의 3% 상회보다 개선된 수치다.
오펜하이머의 존 스톨츠푸스 최고 투자 전략가는 "선거의 해를 맞아 대통령 후보들이 제시한 정책의 불확실성이 있고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도 고조되지만, S&P500은 올해 45번째로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경제 탄력성과 건강한 이익 성장세를 보여줬다"며 "이는 더 상승할 여지가 있는 시장이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대선이 3주 앞으로 다가오고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4%를 넘기는 등 불안정한 요소도 표면화하고 있어 증시가 조용히 우상향 곡선을 그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경계감도 커지는 중이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 분석가는 "3개월 또는 6개월 이상의 시계열로 보면 경제 연착륙과 기업 이익 성장세, 올바른 이유를 바탕에 둔 금리인하 등을 고려해 우리는 여전히 꽤 낙관적"이라면서도 "특히 선거 전 마지막 3~4주 동안 변동성이 일부 돌아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2.43% 오르며 역대 최고치로 장을 마쳤다. 시가총액은 장중 3조4000억달러를 넘어선 뒤 3조3086억달러로 마감했다. 장중 사상 최고치는 지난 6월 20일에 기록한 140.76달러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 지금까지 186.63% 상승했다.
위성 라디오 방송 서비스 기업 시리우스XM은 워런 버핏이 이끄는 지주회사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주 주식 360만 주를 8700만 달러에 사들여 지분을 확대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7% 이상 뛰었다.
미국 제조업의 상징인 대형 중장비 제조사 캐터필러는 모건스탠리가 실적 변화에 우려를 표하며 투자의견을 '비중축소'로 내리고 목표주가를 349달러에서 332달러로 하향 조정한 후 주가가 2% 밀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지난달 '빅 컷'(50bp 금리인하)한 이후에는 통화완화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데이터의 전체성(totality)은 통화정책이 9월 회의에서 필요했던 것보다 금리인하 속도와 관련해 더 신중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고용보고서에 대해서도 "예상하지 못하게 강력했다"며 "노동시장은 여전히 상당히 건강했다"고 평가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연설에서 완만하게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게 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몇 개 분기에 걸쳐 "추가적인 완만한 인하"가 적절하다며 현재 연준의 정책 기조가 제약적이지만 어느 정도 제약적인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1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마감 무렵 14%를 기록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