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C-커머스의 침략 감안하면 이젠 쿠팡이 쿠팡스럽게 성장해 가도록 놔둬야 한다

C-커머스의 무차별적 진입에 입을 국내 제조업-유통업-소비자 피해 감안
우리 정부나 공정위는 쿠팡의 존재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검토할 필요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4-21 08:28:58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인 알리 익스프레스를 비롯한 테무 등 C-커머스가 '초저가 물량 공세'를 앞세워 한국 시장을 뒤흔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국내 이커머스의 강자인 쿠팡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과거에는 기존 토종 업체를 괴멸시키는 생태계 교란 기업으로 인식을 해온 점도 있었으나 이제는 C-커머스에 맞설 유일한 K-커머스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유통시장은 지난 1990년대 이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변화의 소용돌이를 보여주면서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발전되거나 변화된 업태(영업이나 사업의 실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 유통업은 골목의 구멍가게나 시장, 백화점을 중심으로 형성돼 세계 여느 나라나 다를 게 없었다. 그것이 1990년대 초반 글로벌 대형 마트가 들어오고 여기에 맞서 토종인 이마트 등이 등장하면서 국내 유통 업태는 지속적으로 가히 혁명적인 변화 흐름을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이마트, 롯데마트 등 토종 마트가 시장을 평정하면서 잠시 평온한 시대가 오는가 했더니 2010년을 넘어가면서 전자상거래(이커머스)가 등장하자 변화의 움직임이 나타났고 쿠팡이 본격 영업을 시작하면서 태풍이 불기 시작했다. 

 

사실 쿠팡의 등장은 기존 유통기업은 물론 정부에도 그리 탐탁한 존재는 아니었다. 미국계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있었고 엄청난 적자를 감수하며 무리한 확장을 하는 게 결국 우리의 건전한 유통 생태계를 흔드는 '황소개구리'가 아니냐는 인식이 있었다. 이에 정부와 시민-노동단체, 골목상권은 앞다퉈 규제 방안을 만들기 위해 고심했지만, 쿠팡은 용케도 성장을 지속해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하는가 하면 최근 들어서는 흑자경영 기조로 들어선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와중에 알리 익스프레스나 테무와 같은 C-커머스 계열의 '진짜 황소개구리'가 등장하자 쿠팡은 여기에 맞설 대표 K-커머스가 될 것이라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다. 물론 쿠팡이 지난 13일부터 유료 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무려 58.1%나 인상하면서 '본색을 드러내는 게 아니냐'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그래도 C-커머스가 장악하는 우리 미래 유통시장을 그려 본다면 쿠팡의 과거는 메기의 모습이 아니었던가 생각되기도 한다. 

 

그래서 필자는 쿠팡 봐주기 논란에 시달려왔던 공정거래위원회가 22대 총선 결과를 바탕으로 드디어 규제의 칼을 빼들 것이라는 움직임에 동의를 해주기 어렵다. 오히려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는 지적을 해주고 싶다.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장기간에 걸친 면밀한 조사 끝에 이커머스 업계 1위 쿠팡에 대한 제재 수위를 조만간 결정한다. 쿠팡이 제재받을 분야는 하도급갑질을 비롯해 거래상 지위 남용, 알고리즘 조작 등으로 전해졌다. 제재에 따른 과징금이 상상을 뛰어넘는 규모라는 예상도 나온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 구도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는데, 이 같은 공정위의 강력한 제재는 힘을 합쳐 경쟁해도 어려운 판국에 '집안의 싸움'으로 비쳐질 수 있고 결국 C-커머스만 좋아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JP모건은 한국 이커머스 시장이 2026년에 300조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300조원대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K-커머스와 C-커머스의 경쟁이 한층 가열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한 쪽의 팔만 잡는 정부의 태도는 결국 우리 유통시장을 황폐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C-커머스가 맛보기만 보여줬는데도 벌써 부작용을 걱정하는 업계나 소비자의 목소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쿠팡이 침투하던 당시와는 질적으로 구조가 다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근본적으로는 우리와 중국의 관계를 고려할 때 C-커머스를 규제의 울타리에 두며 건전하게 성장해 갈 수 있도록 관리-감독이 가능할지도 의문이 든다. 그저 값싸거나 가성비만을 내세워 무차별 공략을 해올 것인데, 우리가 얻을 이득이 얼마나 있을지도 계산이 안 된다.

 

제조업과 소비자의 중간에서 적당한 이익을 주고받는 존재가 유통업의 가치라면 C-커머스는 우리 제조업이나 소비자에는 거의 이득을 주지 못하면서 중국 제조업에만 이득이 되는 존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C-커머스가 득세한다면 소비자에게는 별 이득이 없으면서 우리 제조업이나 유통업에 상당한 피해를 끼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쿠팡이 득세하면서 가져온 부작용과는 비교조차 하기 힘들 정도로 우리에게 줄 부정적 영향이 클 확률이 높다.

 

이제 우리 정부나 공정위는 쿠팡의 존재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부정적인 인식보다는 건전한 메기로 성장해 가도록 채찍보다는 당근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