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세...WTI 85달러에 거래
브렌트유도 전장보다 2.29달러(2.54%) 오른 배럴당 92.32달러에 거래
최근 유가는 WTI가 80달러대, 브렌트유가 90달러대 박스권에 갇힌 모습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10-20 05:45:13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국제 유가는 미국 정부의 비축유 방출 소식에도 불구하고 상당 폭 올랐다. 이는 원유 재고가 깜짝 줄고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73달러(3.30%) 오른 배럴당 85.5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도 한국시간 오전 5시 40분 현재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2월물이 전장보다 2.29달러(2.54%) 오른 배럴당 92.3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WTI는 뉴욕상업거래소 시간외 거래에서 전장보다 2.63달러(3.20%) 오른 배럴당 84.7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유가는 WTI가 80달러대, 브렌트유가 90달러대 박스권에 갇힌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이는 산유국들의 감산 소식과 경기 침체 우려, 미국의 비축유 방출 등 국제 유가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뚜렷한 방향을 찾지 못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가 전략비축유 1천500만 배럴을 추가 방출할 것이라는 소식이 발표됐으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존에 발표된 전략비축유 방출 기간을 12월까지 연장, 에너지부는 추가로 1천500만 배럴을 전략비축유에서 방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필요하면 수개월 이내에 추가로 전략비축유를 방출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고 언급해 추가 방출 가능성도 열어뒀다.
하지만 이번에 방출하는 물량은 지난 3월 말에 승인된 1억8천만 배럴의 방출 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기존 방출 계획이 11월로 끝날 예정이었으나 예상을 밑도는 판매로 남은 물량을 추가로 방출하는 것이다.
케이플러의 매트 스미스 애널리스트는 "기존에 계획한 1억8천만 배럴에서 미방출된 물량이 나온다는 점에서 이는 시장에 별다른 이벤트가 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주목할 부문은 바이든 행정부가 휘발유 가격을 억제하기 위해 고려하는 다양한 수단들"이라며 "비축유 추가 방출은 물론, 원유 수출 금지, 청정 제품 수출 제한 등과 같은 조치는 바이든 정부가 휘발유 가격에 집착하고 있으며, 이는 중기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유가가 배럴당 70달러 수준으로 떨어지면 전략비축유를 다시 채우기 위해 석유를 매입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주간 원유재고는 예상과 달리 깜짝 감소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14일로 끝난 한 주간 원유 재고는 전주 대비 172만5천 배럴 줄어든 4억3천735만7천 배럴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170만 배럴 증가와 달리 깜짝 감소한 것이다. 휘발유 재고는 11만4천 배럴 줄었고, 정제유 재고는 12만4천 배럴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휘발유 재고는 140만 배럴 감소하고, 정제유 재고는 220만 배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휘발유 재고가 예상보다 적게 줄었고, 정제유 재고는 예상과 달리 증가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