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경계심 여전하지만 저가 매수세로 다우-나스닥-반도체 반등 이어가
증시 조정에 대한 경계심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은 분위기
단기적으로 역추세 랠리 가능성도
인텔은 립-부 탄 신임 CEO가 취임한 이후 강세 기조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5-03-18 06:36:22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이번주에 열리는 이벤트에서 공개될 젠슨 황과 제롬 파월의 입을 기다리며 지난주 말에 이어 2거래일 연속 반등국면을 이어갔다. 독일 의회에서 차기 정부 경기부양책의 근거가 될 법안 통과가 임박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53.44포인트(0.85%) 오른 41,841.63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6.18포인트(0.64%) 상승한 5,675.12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54.58포인트(0.31%) 오른 17,808.66을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65.18포인트(1.42%) 상승한 4,663.97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1.7%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닷컴 1.1%, 메타 0.4%, 구글의 알파벳 0.7%, 브로드컴 0.5%, 테슬라가 4.7% 하락하며 마감했다. 반면 애플은 0.2%, 마이크로소프트 0.04%, 넷플릭스 3.4%, AMD 3.5%, ARM이 2.9%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06%포인트(0.6bp) 하락한 4.302%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37%포인트(3.7bp) 오른 4.053%를 나타내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의 2월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소폭 증가하며 지난 1월의 충격에서 벗어났다. 이날 발표한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2월 미국 소매 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2% 증가한 7227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의 전월비 소매판매 증가율 -1.2% 대비 회복한 수치다.
소매 판매의 세부 항목이 모두 좋지는 않았다. 1월의 전월비 증가율은 기존 0.9% 감소에서 1.2% 감소까지 하향 조정됐다. 2월 수치는 시장 예상치 0.6% 증가에도 못 미쳤다. 가계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잣대로 활용되는 외식비 지출도 크게 줄어들며 소비 둔화를 시사하기도 했다.
다만 시장은 1월의 급감 충격에선 벗어나며 회복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변동성이 큰 자동차와 휘발유, 건축자재, 음식서비스를 제외한 핵심 소매판매(컨트롤 그룹)도 전월 대비 1.0% 급증하며 낙관론에 힘을 실어줬다.
미 해군연방신용협동조합(NFCU)의 로버트 프릭 이코노미스트는 "좋은 보고서는 아니지만, 소비자들이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상황에도 여전히 긍정적인 영역에 있다"면서 "소비 지출의 주요 요인은 소비자 소득이었으며, 이는 좋은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1월에서 (2월로) 인상적인 도약을 보였다"고 말했다.
다만 증시 조정에 대한 경계심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은 분위기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수석 투자 전략가는 "우리는 단기적으로 역추세 랠리에 있다"며 "S&P500의 이번 조정은 단기적으로 5,400 수준에서 마무리될 수 있다"고 말했다.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당분간 어느 정도 불확실성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행하는 관세와 관련해 "확실히 지금부터 4월 2일까지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some uncertainty)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월 2일은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발효하겠다고 결정한 날이다.
업종별로 보면 임의소비재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기술과 통신서비스, 유틸리티를 제외하면 상승 업종은 모두 1% 이상 뛰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만 강보합을 기록했을 뿐 나머지 종목은 모두 약세였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반감이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이날도 주가가 4.79% 내렸다. 시가총액은 7655억달러까지 줄어들며 8천억달러 선이 깨졌다.
기술주가 힘을 못 쓴 반면 우량주와 전통 산업 관련주는 탄탄한 상승세를 보였다. 우량주 위주의 다우지수는 엔비디아와 아마존, 아메리칸익스프레스를 제외한 27개 종목이 모두 올랐다. 미국 소비지표가 회복 신호를 보냈다는 소식에 월마트의 주가가 2.47% 올랐고 프록터앤드갬블, 코카콜라, 맥도날드 등 소매 종목도 1%대 강세였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가 대거 모여 있는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1.42% 오르며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TSMC와 ASML, Arm, 마이크론테크놀러지가 2% 안팎으로 올랐고 AMD는 3.59% 상승했다.
인텔은 신임 최고경영자(CEO)의 취임 후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날도 올랐다. 립-부 탄 신임 CEO가 취임한 뒤 30일 이내에 2500만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기로 밝히면서 기대감이 강해졌다. 이에 이날 인텔 주가는 6.82% 급등하며 마감했다. 가치주의 대명사 버크셔해서웨이는 이날도 A주와 B주가 1% 이상 오르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버크셔의 주가는 올해 들어 14%나 상승했다.
예멘 무장단체 후티 반군이 미군에 보복 공격을 지속할 경우 이란에 책임을 묻겠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고하면서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자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이날 0.6% 상승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3.6%까지 올라갔다. 전날 마감 무렵의 22.9%에서 10% 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반면 50bp 인하될 확률은 19.0%에서 11.3%까지 내려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