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건강한 조정 후 상승장 진입?...반도체 필두로 나스닥-S&P-다우 모두 상승
"최근 조정은 강세장의 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시장에 생기를 가져오는 일"
사우디와 UAE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반도체를 대거 매집하고 있다는 소식도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3-08-15 06:20:45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중국 경제가 부진하며 현지 부동산 관련 회사들은 물론 금융회사들의 연쇄 부도 가능성이 제기되자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장 후반 반도체 등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3대 지수 및 반도체 지수가 모두 상승으로 장을 마쳤다. 다만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1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6.23포인트(0.07%) 상승한 35,307.63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5.67포인트(0.57%) 상승한 4,489.72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43.48포인트(1.05%) 오른 13,788.33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00.90포인트(2.87%) 급등한 3,615.45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7.0% 급등하고 애플이 0.9%, AMD 4.1%, 아마존닷컴 1.5%, 메타 1.5%, 마이크로소프트 0.9%, 구글의 알파벳 1.3%, 넷플릭스가 1.4% 상승하며 마감했다. 다만 테슬라는 1.1% 하락하며 마감해 대조를 이뤘다.
다만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상승폭을 꾸준히 높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9%포인트(1.9bp) 상승한 4.187%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70%포인트(7.0bp) 상승한 4.965%를 가리키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주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0.3%, 1.9% 하락하며 2주 연속 하락했다. 나스닥 지수가 2주 연속 하락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이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주초 이벤트 부재 속에 엔비디아 주가가 7% 이상 오르면서 최근 약세를 보인 기술주를 동반 견인했다는 평가다. 엔비디아 주가의 반등은 최근 주가 하락에도 인공지능(AI) 관련주에 대한 낙관론이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모건스탠리는 엔비디아를 '최선호' 종목으로 유지한다며, 주가 하락에도 여전히 장기 전망을 낙관한다고 말했다. 목표가는 500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지난 금요일 종가 대비 22.4% 높은 수준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반도체를 대거 매집하고 있다는 소식도 주가 급등에 일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사우디가 엔비디아의 H100 반도체를 최소 3천개 사들였으며 UAE도 수천개의 엔비디아 반도체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미국 유명 헤지펀드 타이거 글로벌이 공시를 통해 엔비디아에 대한 지분을 1,300% 늘렸다는 소식도 나왔다. 다음 주 예정된 실적 발표를 앞두고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한 주간 8.5%가량 하락했었다. AMD의 주가도 4% 이상 오르고, 인텔의 주가도 2% 이상 상승했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예정된 소매판매와 월마트, 홈디포, 타깃 등 소매 유통 기업들의 실적을 앞두고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7월 소매판매가 지난달보다 0.4% 증가해 전달의 0.2% 상승보다 상승 폭이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다만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연준의 고금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연준이 9월에 금리를 동결한 후 11월에 금리 인상이 불필요하다고 선언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내년 2분기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S&P500지수 내 기술, 통신, 임의소비재, 헬스 관련주가 오르고, 유틸리티, 부동산, 필수소비재, 에너지 관련주가 하락했다.
테슬라의 주가는 중국에서 전기차 모델Y의 가격을 인하했다는 소식에 1% 이상 하락했다. 니콜라의 주가는 전기 트럭 리콜 소식에 6% 이상 떨어졌다.
AMC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델라웨어 법원이 지난 금요일 회사의 우선주 APE를 보통주로 전환하려던 계획안을 승인했다는 소식에 35% 이상 폭락했다. 페이팔은 이사회가 알렉스 크리스를 새 최고경영자(CEO)로 지명했다는 소식에 2% 이상 올랐다.
유에스(US)스틸의 주가는 경쟁사 클리블랜드-클리프스의 73억달러 규모 인수 제안을 거부하고 여러 전략적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36% 이상 급등했다. 옥타의 주가는 골드만삭스가 투자 의견을 '매수'로 상향했다는 소식에 1%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의 부진은 예상했던 수준이며, 최근 들어서는 지표의 흐름이 이전보다 덜 명확해지면서 골디락스 분위기가 약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의 조정이 과매수 상태에서 건강한 상태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해석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UBS의 제이슨 드라호 자산 배분 담당 팀장은 보고서에서 "2주 전에 우리는 단기적으로 시장이 경제에 대한 새로운 지표가 충분해 연준이 다음 방향에 대한 신호를 줄 때까지 지지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며 "이달 시장의 고르지 못한 모습은 당시의 전망과 일치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8월 유동성이 낮아진 가운데, 투자자들은 여름 초반에 나타난 재료만큼 선명하지 않은 뉴스 흐름에 골디락스 연착륙 이외의 시나리오로 생각이 돌아섰다"고 지적했다.
오펜하이머의 존 스톨츠퍼스 전략가는 "7월 말 이후 광범위한 시장의 일부 조정은 강세장의 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시장에 생기를 가져오는 일시 중단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일어난 조정은 '정돈'이나 '다듬기' 정도로 보인다"라며 "이러한 후퇴가 강세장 종결의 시작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건강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