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연준 7월 금리인상 80%...나스닥 기술주 급락 다우-S&P도 약세
엔비디아와 알파벳의 주가가 3% 이상 하락, 테슬라는 6% 이상 떨어져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6.9% 달해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3-06-27 05:54:11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상승한 가운데 나스닥 지수가 큰 폭 하락하고 나머지 지수도 동반 약세 양상을 보이며 장을 마쳤다.
2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72포인트(0.04%) 하락한 33,714.71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9.51포인트(0.45%) 내린 4,328.82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56.74포인트(1.16%) 하락한 13,335.78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다만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9.07포인트(0.26%) 상승한 3,515.77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6.0% 하락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가 3.7%, 애플이 0.7%, 아마존닷컴이 1.5%, AMD가 2.2%, 메타가 3.5%, 마이코로소프트가 1.9%, 구글의 알파벳이 3.2%, 넷플릭스가 1.9%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하락세로 방향을 잡았다. 오후 3시 4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6%포인트(1.6bp) 하락한 3.723%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19%포인트(1.9bp) 하락한 4.731%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러시아의 반란 사태가 미칠 여파를 주시하며 한동안 지속된 랠리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 우려에 조정을 받을지를 주시하고 있다.
주말 동안 러시아 용병 기업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용병단을 이끌고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로 진격하며 무장 반란을 일으켰으나 사태는 하루 만에 종료됐다. 이에 따라 시장에 미친 영향도 제한적이었다. 다만 투자자들은 이번 사태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과 원자재 가격에 미칠 영향 등을 주시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28일과 29일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유럽 포럼 참석도 주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월 의장은 28일에는 포르투갈에서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 포럼에 참석해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와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 앤드루 베일리 잉글랜드은행(BOE) 총재와 정책 토론에 나설 예정이다. 29일에는 스페인에서 열리는 '금융 안정'을 주제로 한 콘퍼런스에서 스페인 중앙은행 총재와 대담할 예정이다.
파월 의장은 해당 포럼에서 미국의 통화 정책과 관련해 구체적인 발언을 내놓을지는 불확실하지만, 설사 발언이 나오더라도 지난주 의회에서의 발언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주 30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5월 PCE 가격지수가 나온다. 이달 중순 나온 5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크게 둔화했으나 근원 CPI 상승률은 5%대를 유지하며 소폭 둔화하는 데 그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5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3% 올라 전달의 0.4%에서 소폭 둔화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년 대비로도 4.6% 올라 전달의 4.7% 상승에서 0.1%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인플레이션이 끈질기게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연준의 긴축 기조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시장에 영향을 미칠 재료도 부재하면서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진 모습이다.
비관론을 계속 피력해온 모건스탠리는 증시의 조정이 임박했다며 지수가 단기 조정 위험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은 "증시의 역풍 요인이 순풍 요인을 큰 폭으로 압도하며 과거에도 큰 조정의 위험이 이처럼 큰 적이 많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윌슨은 연말 S&P500지수 목표치를 3,900으로 제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약세론자 중 한 명이다.
이날 그동안 가파르게 상승했던 기술주들이 조정을 받았다. 엔비디아와 알파벳의 주가가 3% 이상 하락했으며, 테슬라의 주가는 6% 이상 떨어졌다. 골드만삭스가 테슬라에 대한 투자 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내렸다는 소식도 나왔다. 모더나의 주가는 UBS가 투자 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한 가운데 1% 이상 올랐다. 루시드는 영국 슈퍼카 업체 애스턴 마틴에 파워트레인 및 배터리 시스템을 공급하는 제휴를 체결했다는 소식에 주가는 장중 10% 이상 올랐다가 1%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최근 차익실현에 나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러시아 사태는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라고 전망했다.
벤스 이그노르 투자 전략의 릭 벤시뇨르는 보고서에서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마침내 지난 두 달간의 상당한 랠리 이후 일부 차익실현에 나섰다"고 말했다. 비.라일리 파이낸셜의 아트 호건 수석 전략가도 "지난주의 일부 조정은 기본적으로 기술적인 것으로 S&P500지수가 저항선에 다다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븐스 리포트의 톰 에셰예 창립자는 보고서에서 "앞으로 (러시아 사태는) 분명 전 세계에 더 많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가져다주지만,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뛰지 않는 한 시장은 러시아의 정치적 변동성을 대체로 무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23.1%를,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6.9%에 달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