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최고치 행진 계속될까, 시간외 구글은 5% 급등 AMD는 7% 급락
구글은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외 5%대 상승했지만
반도체 기업 AMD 주가는 시간외에서 7% 급락 대조
트럼프 전 대통령 관련 기업 지난 5월 이후 최고 종가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10-30 06:27:52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오는 11월 연준의 FOMC 회의에서 금리인하가 확실시되는 가운데, 국채금리마저 오후 들어 하락 전환하자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가 장중은 물론 마감가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나스닥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최근 10거래일 중 9거래일을 상승으로 마감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54.52포인트(0.36%) 하락한 42,233.05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40포인트(0.16%) 상승한 5,832.92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45.56포인트(0.78%) 상승한 18,712.75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20.51포인트(2.31%) 급등한 5,332.17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0.1% 상승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0.5%, 마이크로소프트 1.2%, 아마존닷컴 1.3%, 메타 2.6%, 구글의 알파벳 1.7%, AMD 3.9%, 넷플릭스 1.3%, ARM이 4.7% 상승하며 마감했다. 다만 테슬라는 1.1% 하락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에는 오전과는 다르게 하락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0%포인트(1.0bp) 하락한 4.268%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7%포인트(2.7bp) 내려간 4.113%를 가리키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는 구글 모기업 알파벳을 위시한 빅테크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나스닥지수를 신고점까지 끌어올렸지만 차익 매물 공세에 다우지수가 뒷걸음질치면서 혼조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이날 장중 역대 최고치를 2거래일 만에 경신하고, 3개월여 만에 최고 마감 기록까지 새로 썼다. 나스닥지수는 지난 7월 10일과 11일에 종가 기준 최고점과 장중 최고점을 잇달아 찍은 후 지난 25일까지 3개월 이상 이 선을 넘어서지 못했었다.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1월 금리 인하 폭에 영향을 줄 신규 지표들과 기업 실적 발표에 주목했다. 특히 장 마감 후 공개된 알파벳(구글 모기업) 3분기 실적 보고서에 관심이 집중됐다.
이날 나온 경제지표들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구인·이직 보고서(JOLTs)에 따르면 9월 구인 건수는 744만3천 건으로, 전월(786만1천 건)보다 42만 건 줄어들며 2021년 초 이후 가장 작은 수치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798만 건)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다.
반면 민간 경제조사기관 콘퍼런스보드(CB)가 집계한 10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8.7로, 전월(99.2)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고 시장 예상(99.5)도 상회했다. 이 지수는 미국 경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경기 선행 지표 역할을 한다. 8월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5.2%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5.1%↑)를 넘어 사상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구글은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을 넘어선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모기업인 알파벳의 시간외 주가가 5% 이상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역시 장 마감 후 실적을 공개한 주요 반도체 기업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 주가는 장중에 3.96% 올랐지만 시간외 거래에서 7%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개장에 앞서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세계 최대 패스트푸드 체인 맥도날드 주가는 0.62% 뒷걸음질쳤다. 맥도날드는 매출과 EPS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글로벌 비교매출이 1.5% 감소하며 시장예상(0.6%↓)을 밑돌았다. 프랑스·영국·중동·중국 등지의 수요 약화 탓으로 전해졌다.
미국 3대 자동차 포드는 연간 가이던스를 낮춰 잡은 여파로 주가가 8.44% 급락했다.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인 페이팔은 EPS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하는 데 그치며 시장 예상에 못 미쳐 주가가 3.96% 하락했다.
크루즈 전문업체 로열 캐리비안 그룹은 매출이 시장예상에 부합하고 EPS가 시장예상을 웃돈 실적에 힘입어 주가가 3.22% 상승했다. 대형 제약사 화이자는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을 내고도 주가가 1.39% 밀렸다.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다 지분을 보유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 주가는 이날 8.76% 더 뛴 51.51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 5월 이후 최고 종가를 기록했다. 세계 최대 항공우주기업 보잉은 유동성 위기 극복을 목적으로 추진한 21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 계획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 주가가 1.52%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가운데 테크놀로지(1.12%)·통신서비스(1.56%) 단 2개 업종만 상승하고 나머지 임의소비재(0.2%)·필수소비재(0.96%)·에너지(1.44%)·금융(0.61%)·헬스케어(0.29%)·산업재(0.14%)·소재(0.67%)·부동산(0.94%)·유틸리티(2.13%) 9개 업종은 하락했다.
투자운용사 CFRA 리서치 최고 투자 전략가 샘 스토벌은 "현재 증시는 가격이 비싼 시장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높은 PE비율(Price Earnings ratio)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수익 성장이 가속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투자금융사 BTIG 분석가 조나선 크린스키는 "미국 대선일까지 이제 4거래일 남은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향후 수주간 하향 변동성을 겪을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1월 회의(11월 6~7일)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금리 향방에 대한 관심도 고조됐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Group)의 페드워치(FedWatch) 툴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11월에 기준금리를 25bp 추가 인하할 확률은 97.5%, 현 수준(4.75~5.00%)에서 동결할 가능성은 2.5%로 반영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