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증시, 트럼프 유연한 관세정책 기대감에 나스닥-S&P-다우 훈풍 지속

소비자 신뢰지수의 주요 구성 요소는 모두 하락
1월 미국 주택가격지수는 323.54로 전년 동기 대비 4.08% 올라
작은 등락폭으로 뚜렷한 방향성은 정하지 못해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5-03-26 06:27:15

▲미국 뉴욕증시는 25일(현지시간) 트럼프의 유연한 관세정책을 기대하며 3대 지수가 소폭 상승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새로운 방향성을 찾으려는 듯 보합권 안팎에서 움직이다 장 막판 소폭 상승 반전하며 장을 마쳤다. 소비심리 위축세를 시사한 소비자신뢰지수가 시장에 하방 압력을 넣었으나, 거래량과 가격이 모두 증가세를 보인 주택시장 지수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반도체주들이 하락하는 가운데서도 테크주들이 강세를 보인 게 특징이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4.18포인트(0.01%) 오른 42,587.50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08포인트(0.16%) 상승한 5,776.65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83.26포인트(0.46%) 상승한 18,271.86을 가리키며 장을 마쳤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32.89포인트(0.70%) 하락한 4,661.34를 마크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1.3% 상승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0.5%, 아마존닷컴 1.2%, 메타 1.2%, 구글의 알파벳 1.7%, 테슬라 3.5%, 넷플릭스 2.6%, AMD가 0.2% 상승하며 마감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0.5%, 브로드컴 1.5%, ARM이 0.4%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소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8%포인트(1.8bp) 하락한 4.313%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4%포인트(2.4bp) 내린 4.013%를 가리키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3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9.46포인트(0.09%) 오른 42,622.78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3.32포인트(0.23%) 상승한 5,780.89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51.67포인트(0.28%) 높은 18,240.26을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는 유연한 관세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날 급등 이후 쉬어가는 분위기였다. 장 초반 발표된 3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달갑지 않았다.

 

미국 콘퍼런스보드(CB)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2.9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 94.0을 밑도는 수치며 2월 소비자 신뢰지수 100.1과 비교하면 7.2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2021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3월 기대지수도 전월 대비 9.6포인트 하락한 65.2를 기록하며 12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현재 상황지수는 전월 대비 3.6포인트 하락한 134.5로 내려갔다.

 

CB의 스테파니 기차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자 신뢰지수의 주요 구성 요소가 모두 하락했다"며 "특히 미래 경기 전망과 고용 시장에 대한 기대가 급격히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이토로의 브렛 켄웰 미국 투자 분석가는 "경제적 우려와 경제 정책 불확실성이 타격을 주면서 투자자, 소비자, 기업 사이에서 신뢰가 계속 약해지고 있다"며 "관세와 거시 경제에 대한 확실성이 더 높아질 때까지 소비자 심리와 신뢰는 취약한 상태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증시는 소비자 신뢰 악화보다는 트럼프의 유연성에 더 기대감을 갖는 분위기였다. 소비자 신뢰 발표 이후 주춤하던 증시는 오후 들어 탄력을 회복하며 소폭 상승으로 마무리했다. 트럼프는 이날 오후 "캐나다와 멕시코가 많은 진전을 이뤘다"며 두 나라에 부과된 관세가 완화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는 캐나다와 멕시코 정부에 대해 마약 성분 펜타닐의 미국 내 유통을 통제하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만족할 만한 수준을 달성하지 못하면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압박하고 있다.

 

테슬라는 전날 11.93% 급등하며 2024 대선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 2월 유럽 시장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40% 감소했다는 소식에 장 초반 보합권을 등락했으나 오후 들어 오름폭을 확대했다.

 

미국 주택전문 건설업체 KB홈은 시장 기대에 못 미친 전 분기 실적을 공개한 뒤 주가가 5% 이상 떨어졌다.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투자한 소형 모듈 원자로(SMR) 전문업체 오클로는 이날 6% 이상 떨어졌다. 전날 13% 이상 급등한 뒤 하루 만에 반락이다. 가까운 미래에 상당한 재정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힌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현재 정책이 지속해서 제약적"이라며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이 잘 자리 잡았다고 판단했다. 쿠글러 이사는 "위원회는 유입되는 데이터와 새로운 정책의 누적 효과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는 동안 현재의 금리를 어느 정도 기간 유지함으로써 새로운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섰으나 통화정책과 경제 현황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지난 1월 미국 주택가격지수는 323.54로 전년 동기 대비 4.08% 올랐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지난 2월 신규 주택 판매는 연율 기준 67만6천 채로 전월 수정치(66만4천채) 대비 1.8% 증가했으나 시장 예상치 68만채에는 미달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2.8%로 전날 마감 무렵 대비 소폭 내려왔다. 대신 25bp 인하 확률은 59.7%로 소폭 상승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