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뉴욕증시, 파월의 비둘기파적 입장 확인에도 나스닥-S&P 하락 반도체는 급락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대신
금리인상은 일축하면서 혼조세를 보였다는 분석
오는 6월 미 연준의 금리동결 확률은 90.9%로 거의 굳히기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5-02 06:12:53

▲미국 뉴욕증시는 1일(현지시간) 연준의 입장에 따라 일희일비하며 급등락을 오간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기다린 끝에 급격한 변동성을 보여줬다.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개장 후 시종 혼조세를 보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이 나온 이후 급격한 상승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이후 다시 혼조세로 돌아선 채 장을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앞으로의 금리 경로에 대해 "연준의 다음 행보는 금리 인상일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하면서 증시에 다소 안도감을 심어줬지만 장 막판에 다시 매물이 증가하면서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7.37포인트(0.23%) 오른 37,903.29를 가리키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7.30포인트(0.34%) 하락한 5,018.3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2.34포인트(0.33%) 하락한 15,605.48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65.63포인트(3.54%) 급락한 4,507.68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3.8% 하락하고 테슬라가 1.8%, AMD 8.9%, 애플이 0.6%, ARM이 5.8%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아마존닷컴은 2.2%, 마이크로소프트 1.4%, 메타 2.1%, 구글의 알파벳 0.6%, 코인베이스 3.0%, 넷플릭스가 0.1% 상승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현지시간 오후 4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52%포인트(5.2bp) 하락한 4.632%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82%포인트(8.2bp) 내린 4.964%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대신 금리인상은 일축하면서 혼조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이날 시장 참가자들의 시선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으로 향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5.25~5.50%로 동결한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경제 전망이 불확실하며 여전히 인플레이션 위험에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도 고용시장이 예상과 달리 약해지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파월 의장은 "금리인하와 금리인하를 하지 않는 경로가 있다"며 "다음 정책 움직임이 금리인상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까지 인플레이션 하락 추세가 둔화되면서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후퇴한 가운데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뒀던 시장참가자들은 안도감을 나타냈다. 이에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4.63%대로 하락했고, 유로-달러 환율도 1.071달러대로 오르면서 달러 약세를 반영했다.

 

특히 일본 외환당국이 달러 매도 개입 타이밍을 저울질하는 시점에 연준의 비둘기파적 스탠스가 나오면서 달러-엔 환율은 157엔대에서 154엔대로 가파르게 급락했다.

 

긴축을 우려하던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금리를 유지하면서 금리인하 방향을 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 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기본 케이스는 금리인하 같다"며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6월에 금리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의 주가도 눈길을 끌었다. 아마존닷컴은 2%대 상승했다. 아마존은 전일 1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하게 나오면서 매수세가 우위를 보였다. 스타벅스는 15% 이상 하락했다. 지난 1분기 스타벅스의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화이자는 주가가 1% 이상 올랐다. 1분기에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했지만 월가 예상치를 웃돌고, 실적 전망치가 좋게 나오면서 화이자의 주가는 호조를 보였다. 미국의 대형 약국 체인인 CVS 헬스는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으로 16%대 하락했다. 위기의 미국 지역은행 뉴욕 커뮤너티 뱅코프는 1분기에 손실을 기록했지만, 경영진이 향후 2년 안에 수익성을 확보하겠다고 말해 28% 급등했다.

 

이날 미국 고용시장 관련 지표는 엇갈렸다.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4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달보다 19만2천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18만3천명을 9천명 상회하는 수치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Jolts(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구인 건수는 848만8천건으로 직전월 881만건보다 32만5천건 감소했다. 미국의 구인 건수는 작년 말부터 1천만건을 밑돌고 있다. 2월 건설지출은 계절 조정 기준 전월보다 0.2% 감소한 연율 2조839억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2일 발표될 4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과 실업률을 기다리고 있다. 업종별 지수는 에너지, 기술, 산업, 금융 관련 지수가 하락했다. 헬스, 소재, 부동산, 유틸리티, 커뮤니케이션 관련 지수는 올랐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6월 미 연준의 금리동결 확률은 90.9%로, 6월 25bp 금리인하 확률은 9.1%로 반영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