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미국 CPI 8.5% 급등 41년만에 최고...5월 기준금리 빅스텝 현실화

3월 에너지 물가는 전월보다 11%, 전년 동월보다 32% 각각 급등
식료품 물가 역시 전월보다 1%, 전년 동월보다 8.8% 각각 상승
지난해 물가상승의 주범이었던 중고차 가격은 3.8% 떨어져 이채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2-04-13 04:34:11

▲ 미국 소비자물가 추이/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5% 급등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198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전월 상승폭(7.9%)을 크게 웃돌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8.4%)도 소폭 상회했다. 2월과 비교하면 1.2% 올라 지난 200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월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상승분의 절반은 휘발유 가격이 차지했다. 지난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글로벌 원유 공급난 우려 속에 미국의 평균 휘발유 가격도 지난달 11일 갤런당 4.33달러까지 치솟은 바 있다. 이에 따라 3월 에너지 물가는 전월보다 11%, 전년 동월보다 32% 각각 급등했다.

 

밀과 옥수수 등 주요 곡물과 비료를 전 세계에 공급하는 두 나라의 전쟁으로 식료품 물가 역시 전월보다 1%, 전년 동월보다 8.8% 각각 상승했다.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용(주택 임차료와 호텔 숙박료)은 전월 대비 0.5%, 전년 동월 대비 5% 올라 심상치 않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4%, 전월보다 0.3%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근원 CPI의 연간 상승률은 1982년 중반 이후 최대폭이지만, 월간 상승률은 최근 6개월 사이 최소폭이라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지난해 물가상승의 주범이었던 중고차 가격이 3.8% 떨어진 것이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물가 영향이 본격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날 발표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발걸음이 더욱 빨라질 것이 확실시된다.

 

지난달 3년여 만의 첫 금리인상에 착수한 연준이 고삐 풀린 물가를 잡기 위해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열리는 5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러한 빅스텝은 한 번에 그치지 않고 최소 한두 차례 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아울러 연준이 지난달 예고한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도 내달 본격화할 것이 유력해졌다.


다만 소비자 물가가 3월에 정점을 찍고 곧 상승폭을 줄여나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사상 최대 비축유 방출 등에 힘입어 3월 한때 갤런당 4.33달러까지 치솟았던 휘발유 평균 가격이 전날 기준 4.10달러로 줄어든 것이 그 근거 중 하나다.

 

그러나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을 다시 꼬이게 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더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6%에 가까운 물가상승률로 연준 목표치 2%를 3배 가량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