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미국증시, '검은 목요일' 나스닥 6% 반도체 10% 폭락 S&P 5% 다우 4% 급락
애플이 9.2%, 마이크로소프트 2.3%, 엔비디아 7.8%, 아마존닷컴 8.9%,
메타 8.9%, 구글의 알파벳 4.0%, 테슬라 5.4%, 브로드컴 10.5%,
넷플릭스 1.9%, 팔란티어 4.4%, AMD 8.9%, ARM이 9.6% 급락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5-04-04 05:14:51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동반 급락 내지는 폭락하며 '검은 목요일'을 연출했다.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어렵게 쌓아올린 공든탑이 한순간에 와르르 무너져내리는 순간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발 무차별 상호관세 쇼크가 위험자산에 대한 패닉 셀을 불러오면서 공포의 폭락장세가 나타난 것이다. 특히 이날 폭락은 그동안 고점이라고 인식되었던 기술주와 반도체주들의 하락세가 주도하는 분위기였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679.39포인트(3.98%) 급락한 40,545.93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떨어진 5,396.52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폭락한 16,550.61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427.07포인트(9.88%) 폭락한 3,893.69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9.2% 급락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2.3%, 엔비디아 7.8%, 아마존닷컴 8.9%, 메타 8.9%, 구글의 알파벳 4.0%, 테슬라 5.4%, 브로드컴 10.5%, 넷플릭스 1.9%, 팔란티어 4.4%, AMD 8.9%, ARM이 9.6% 급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일제히 급락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144%포인트(14.4bp) 급락한 4.051%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202%포인트(20.2bp) 급락한 3.702%를 가리키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30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509.53포인트(3.57%) 급락한 40,715.79를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18.71포인트(3.86%) 떨어진 5,452.2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840.78포인트(4.78%) 미끄러진 16,790.26을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작심하고 공표한 상호관세 후폭풍을 경계하며 위험자산을 무차별 투매하는 폭락장이 연출됐다. 이에 비해 대표적인 무위험자산으로 손꼽히는 미국 국채는 폭등세를 연출해 금리가 급락하고 있다.
이날 발표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개선세를 보였으나, 미국 기업들의 감원 계획이 사상 3번째 규모로 급증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저성장) 공포까지 시장을 덮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장 마감 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 관세 부과' 방침과 함께 60개국을 상대로 최대 49%의 개별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한국에는 26% 관세율이 책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해방의 날, 미국 제조업이 다시 태어나는 날"이라며 "미국을 다시 부강하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 수준"이라며 실제 완전한 상호관세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10% 관세는 오는 5일, 국가별 상호관세는 오는 9일 발효된다.
이와 관련 스캇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미국이 최대 무역 적자국"이라고 강조하면서 상대국들에 "보복 관세로 대응하지 말라. 보복시 추가 부담을 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3월23일~29일)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 21만9천 명으로 집계됐다. 직전주 대비 6천 명 감소했고 시장예상치(22만5천 명)도 하회하며 고용시장 개선을 시사했다.
그러나 미국 기업들의 감원 계획이 사상 3번째 규모로 급증하며 노동시장 냉각 우려를 안겼다. 챌린저, 그레이앤드크리스마스(CG&C) 감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은 지난 3월 총 27만5240명의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직전월 대비 60%, 전년 동월 대비 205% 급증한 수치다. 트럼프 2기 신설 조직 정부효율부(DOGE)가 대대적인 공무원 구조조정을 벌이고 있는 여파로 풀이됐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공개한 3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8로 업황 확장 국면(50 이상)은 유지했으나, 직전월(53.5) 대비 뒷걸음쳤고 시장 예상치(53)에도 못 미쳤다.
상호관세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 애플을 비롯해 그동안 시장 상승을 주도했던 엔비디아, 아마존닷컴, 메타, 브로드컴과 같은 빅테크주들이 이날 폭락세의 주인공이 되었다.
미국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한 동남아 지역에서 주요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스포츠웨어 기업 나이키, 의류 전문업체 갭, 기능성 스포츠웨어 업체 룰루레몬, 가구·가정용품 전자상거래업체 웨이페어 등의 주가도 폭탄을 맞은 분위기였다. 나이키는 14.44%,·룰루레몬은 각각 9.58%, 갭은 20.29%, 웨이페어는 25.59% 급락하며 마감했다.
중국산 저가 상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대형 유통업체 파이브빌로우는 27.81%, 달러트리는 13.34% 미끄러졌다.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칠 여파 우려에 대형 은행주 주가도 일제히 미끄럼을 탔다. JP모간은 6.97%, 씨티그룹 12.14%, 골드만삭스·모간스탠리는 각각 9.21%, 9.51%,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1.06% 굴러 떨어졌다.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 포드는 소비자들의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모든 구매 고객에게 직원 할인가를 적용하는 '프롬 아메리카 포 아메리카'(From America for America)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6.01% 밀렸다.
자산운용사 생추어리 웰스 수석 투자전략가 메리 앤 바텔스는 전날 발표된 트럼프 2기 상호관세에 대해 "최악의 시나리오였고, 시장 가격에 반영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이 같은 위험 회피 반응을 보고 있다"고 평했다. 그는 "S&P500지수가 5,500선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5,500선이 붕괴되면 5~10% 추가 하락하며 5,200~5,400 사이에서 저점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월가의 대표적인 강세론자인 투자정보사 펀드스트랫 공동 설립자 겸 분석가 톰 리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2기 핵심 의제인 관세 발표를 일단락한 이후 증시 부양을 추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초 힘들게 출발한 증시 제자리로 돌리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