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천연가스, 중동불안에도 달러 강세에 이틀 연속 하락...유가는 소폭 상승 WTI 72달러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31달러(1.07 %) 하락한 2.869달러
WTI 가격은 전장보다 0.16달러(0.22%) 오른 배럴당 72.56달러에 거래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1-18 06:02:20

▲미국 뉴욕에서 17일(현지시간)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공급과 수요의 힘겨루기를 벌이면서 조정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캘리포니아 LA에 있는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17일(현지시간) 중동 불안이 계속되고 있지만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국제 유가가 큰 변동이 없는 흐름을 유지했다. 아울러 천연가스 가격은 그동안 급등에 따른 매물이 나오면서 이틀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먼저 유가는 달러 강세와 중국의 지표 부진에도 소폭 올랐다. 1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16달러(0.22%) 오른 배럴당 72.5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한국 시간 18일 오전 5시 55분 현재 3월 인도분이 전 거래일 대비 0.29달러(0.37%) 하락한 배럴당 78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가는 지난 4거래일 중에서 3거래일간 올랐으나 최근에는 배럴당 70달러 내외의 좁은 폭에서 움직이고 있다. 중동을 둘러싼 긴장이 지속되고 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수요 전망도 밝지 않기 때문이다.

 

이날 영국 해상 보안업체 암브레이는 아덴만을 따라 동쪽으로 항해하던 마셜제도 선적의 벌크선이 동남쪽 66마일 해상에서 드론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날 공격은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의 소행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동안 후티는 이스라엘과 전쟁 중인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홍해를 지나는 이스라엘과 관련된 선박들을 공격해왔다.

 

이는 공급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지만, 원유 수요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다. 원유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경제가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이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앞서 발표한 중국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5.2%로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0.1%포인트 밑돌았다. 다만 지난해 전체 성장률은 5.2%로 정부의 연간 목표치인 '5% 안팎'을 달성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7.4% 늘어 시장의 예상치인 8.0% 증가를 밑돌았다.

 

최근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3월 금리 인하 기대가 줄어들며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는 점도 유가 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달러 강세는 달러화로 거래되는 원유 가격을 비싸게 만들어 트레이더들의 원유 수요를 억제한다. 이날은 미국의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달러화 강세를 부추겼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달러지수는 이날 103.467 근방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달에만 달러지수는 2% 이상 올랐다.

 

스파르탄 캐피털의 피터 카딜로 수석 시장 이코노미스트는 유가가 지난 3주간 거래된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이는 시장이 근본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에도 "이스라엘과 다른 중동 국가들과의 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는다면, 공급망이 붕괴하고 유가는 급등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일부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으로 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달러화가 새로운 고점을 쓰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를 포함한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올해 전세계 원유 수요 증가량 전망치를 기존의 하루 220만배럴로 유지했다. 내년 원유 수요는 하루 180만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최근 급등세를 지속한 여파로 이틀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100만 BTU당 2.8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한국시간 18일 오전 5시 53분 현재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31달러(1.07 %) 하락한 2.869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17일 오전 5시 9분 현재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445달러(13.43%) 폭락한 2.868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앞서 13일 오전 5시 40분에는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256달러(8.27%) 급등한 3.353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난 12일 오전 5시 18분 현재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6달러(1.97%) 상승한 3.099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11일 오전 5시 27분에는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40달러(4.39%) 하락한 3.050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