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국제유가 리비아 생산 재개에 상승폭 낮춰 WTI 74달러, 천연가스는 급락세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37달러(4.61%) 급락한 2.833달러
WTI는 전 거래일보다 0.67달러(0.91%) 오른 배럴당 74.38달러에 마쳐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10-05 06:04:38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4일(현지시간) 국제 유가는 리비아가 원유 생산 재개에 나선다고 발표하면서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 가능성에도 상승폭이 제한됐다. 아울러 천연가스 가격은 이날 급락세로 전환했다.
먼저 뉴욕 유가는 강세를 이어갔다. 이란의 석유 시설을 이스라엘이 직격할 수 있다는 긴장감이 팽창하면서 유가는 위험 프리미엄을 높였다. 다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전날 발언을 한층 완화하는 수위의 발언을 덧붙이면서 유가 상승폭은 제한됐다. 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0.67달러(0.91%) 오른 배럴당 74.3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한국 시간 5일 오전 4시 32분 현재 12월 인도분이 전 거래일 대비 0.46달러(0.59%) 상승한 배럴당 78.08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란을 겨냥한 이스라엘의 군사적 압박이 해소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유가는 강세를 이어갔다. WTI 가격은 이날도 장중 상승률이 2%를 넘기기도 했다. 다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향해 유전 공습 외 대안을 생각해야 한다고 발언하면서 유가는 상승폭을 낮췄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나보다 이스라엘을 더 도와준 행정부는 없다"며 "비비(네타냐후 총리의 별칭)는 그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은 공습을 어떻게 할지 결론을 내리지 않았고 그건 논의 중"이라며 "내가 그들의 처지에 있다면 유전을 공습하는 것 외에 다른 대안들을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란의 유전을 타격 목표로 둔 이스라엘의 군사적 행동에 미국 정부가 에둘러 반대 의사를 표한 것이다. 전날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유전 타격을 논의 중이라고 밝히면서 국제 유가는 5% 넘게 폭등한 바 있다. 이날 발언은 전날의 입장에서 한 발 물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판무어고든의 애슐리 켈티 분석가는 "이란이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날리면서 '체면'은 살렸지만,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확전 가능성도 생겼다"고 말했다. 스톤X의 알렉스 호데스 분석가는 "시장은 이미 상당한 규모의 단기 포지션과 작은 규모의 순매수량을 보유하고 있어 가격 급등에 취약해졌다"고 말했다.
리비아에서는 유가 공급 불안을 누그러뜨릴 만한 소식이 나왔다. 리비아 동부 정부와 내셔널오일코프는 리비아 중앙은행 총재 임명을 둘러싼 분쟁이 해결돼 모든 유전과 수출 터미널이 다시 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 리비아가 생산량을 두 배 이상 늘리면 하루 약 120만 배럴 수준으로 산유량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이날 급락으로 반전한 모습이다. 한국시간 5일 오전 4시 30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37달러(4.61%) 급락한 2.833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4일 오전 4시 42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86달러(2.98%) 상승한 2.972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3일 오전 5시 40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5달러(0.52%) 상승한 2.911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2일 오전 4시 58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4달러(0.48%) 하락한 2.909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지난 10월 1일 오전 4시 35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05달러(0.17%) 하락한 2.897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앞서 28일 오전 5시 25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75달러(6.36%) 급등한 2.928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