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천연가스, 5일 연속 급락하며 100만 BTU 2.1달러...유가는 공급 우려에 급등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25달러(5.55%) 급락한 2.127달러
WTI 가격은 전날보다 1.78달러(2.42%) 오른 배럴당 75.19달러에 거래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1-23 06:26:28

▲미국 뉴욕에서 22일(현지시간) 국제 유가는 공급 불안 우려에 상승한 반면 천연가스 가격은 급락세를 이어갔다. 사진은 텍사스 미들랜드 지역의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22일(현지시간) 국제 유가는 공급 불안 우려에 최근 한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천연가스 가격은 5일 연속 급락세를 기록하며 100만 BTU가 2.1달러에 거래됐다. 

 

먼저 유가는 공급에 대한 우려 속에 한 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78달러(2.42%) 오른 배럴당 75.1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지난해 12월 26일 이후 최고치다. 유가는 지난 7거래일 중에서 5거래일간 올랐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한국 시간 23일 오전 6시 20분 현재 3월 인도분이 전 거래일 대비 1.28달러(1.63%) 상승한 배럴당 79.84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가는 주말 동안 우크라이나에 접경한 러시아 서부 브랸스크주의 유류 창고가 무인기(드론) 공습을 받아 큰 화재가 발생했다는 소식에 공급 우려가 강화되며 상승했다.

 

앞서 우크라이나 당국 관계자는 "우리 정보기관이 이번 러시아 유류창고 공격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미즈호의 밥 야거 매니징 디렉터는 이번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은 러시아 석유 인프라를 공격하는 것이 우크라이나의 하나의 정책이 될지에 대한 의문을 야기한다며 만약 그러하다면 이는 유가에 문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어게인 캐피털도 애널리스트도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석유 기반 시설을 목표로 한다면 이는 유가에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위험 자산이 오르는 점도 유가 상승에 일조하고 있다. 이날 미국 S&P500지수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원유 트레이더들은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자, 경기 침체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깨닫기 시작했다"며 "공급이 타이트해 보이는 상황에서 수요 기대가 더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홍해 지역의 긴장, 중국과 대만의 긴장에 이어 노스다코다 지역의 한파로 인한 원유 생산 중단 등도 공급 위험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씨티 인덱스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시장 애널리스트는 "긍정적인 위험 선호 심리가 유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며 주식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가 원유 등 다른 자산에 대한 위험 선호로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5일 연속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100만 BTU당 2.1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국시간 23일 오전 6시 18분 현재 3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25달러(5.55%) 급락한 2.127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19일 오전 5시 06분 현재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170달러(5.92%) 급락한 2.700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지난 18일 오전 5시 53분에는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031달러(1.07 %) 하락한 2.869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앞서 17일 오전 5시 9분 현재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445달러(13.43%) 폭락한 2.868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앞서 13일 오전 5시 40분에는 2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장보다 0.256달러(8.27%) 급등한 3.353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