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미국 뉴욕증시, 강한 CPI 에도 오라클 호조에 나스닥-S&P-반도체 1% 이상 상승

엔비디아 5.3%, 테슬라 0.6%, AMD 1.4%, 애플 0.6%, 메타 3.1%,
마이크로소프트 2.5%, 아마존닷컴 2.1%, 코인베이스 1.4%,
구글의 알파벳이 0.9%, ARM이 1.9%, 넷플릭스가 2.2% 상승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4-03-13 04:05:56

▲미국 뉴욕증시는 12일(현지시간) CPI 발표 후 강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소폭 웃돌았지만 이미 조정을 거친 덕분인지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거비 상승 둔화가 눈에 띄면서 증시에 안도감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나스닥, S&P, 반도체 지수가 모두 1% 이상 오르고 있다. 

 

1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3시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2포인트(0.73%) 오른 39,051을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5포인트(1.08%) 상승한 5,173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16포인트(1.35%) 뛴 16,235를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56포인트(1.16%) 오른 4,946을 가리키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5.3% 급등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0.6%, AMD 1.4%, 애플 0.6%, 메타 3.1%, 마이크로소프트 2.5%, 아마존닷컴 2.1%, 코인베이스 1.4%, 구글의 알파벳이 0.9%, ARM이 1.9%, 넷플릭스가 2.2% 상승하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에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2시 47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9%포인트(4.9bp) 상승한 4.153%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59%포인트(5.9bp) 오른 4.593%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현지시간 오전 11시 2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5포인트(0.61%) 오른 39,005를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1포인트(1.01%) 상승한 5,168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26포인트(1.41%) 뛴 16,245를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81포인트(1.66%) 오른 4,971을 가리키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5.7% 급등한 것을 비롯해 테슬라 0.2%, AMD 1.3%, 애플 0.03%, 메타 3.2%, 마이크로소프트 2.1%, 아마존닷컴 2.6%, 코인베이스 1.5%, 구글의 알파벳이 0.5%, ARM이 0.06% 상승하고 있었다.

 

미국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0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1%포인트(4.1bp) 상승한 4.145%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59%포인트(5.9bp) 오른 4.593%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39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4.16포인트(0.63%) 오른 39,013.82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5.49포인트(0.89%) 상승한 5,163.43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82.82포인트(1.14%) 뛴 16,202.09를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2월 CPI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 오라클 등 기술주의 강세 등을 주시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예상치에 부합하거나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우려는 계속됐다. 2월 헤드라인 CPI는 전월보다 0.4% 올라 전달의 0.3% 상승을 소폭 웃돌았으나 예상치에는 부합했다.

 

전년 대비로는 3.2% 상승해 전달의 3.1% 상승보다 높아졌고, 예상치인 3.1%보다 강한 모습을 보였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은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다. 2월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전월과 같았으나 예상치인 0.3%를 웃돌았고, 전년 대비로는 3.8% 상승해 예상치인 3.7% 상승을 웃돌고, 전월치인 3.9%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물가 지표 발표 이후 10년물 국채금리는 전날보다 5bp가량 오른 4.148%를 기록했고, 2년물 국채금리는 4bp가량 상승한 4.586%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0.24%가량 오른 103.085를 기록했다.

 

1월 CPI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연초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은 지표 발표 이전부터 제기됐던 부문이다. 오히려 시장은 예상치를 크게 웃돌지 않았다는 점에 안도했다. 특히 자가주거비(OER)의 상승률이 전달의 0.6% 상승에서 0.4% 상승으로 둔화한 점에 안도했다. 그동안 주거비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2월 CPI가 발표된 이후 연준이 6월에 첫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67%로 전날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한 행사에서 자신이라면 금리 인하를 6월 이후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먼은 "그들(연준)은 빠르고 극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지만 그들에 대한 신뢰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저라면 심지어 6월이 지나서 모든 것이 해결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기술주들은 인플레이션 강세에도 오라클의 실적 호조 등으로 강세를 보였다. 미국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은 예상치를 웃도는 분기 실적을 발표해 주가가 10% 이상 오르고 있다.

 

이는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장 초반 엔비디아 주가가 3% 이상 오르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도 2% 이상 오르고 있다. 메타와 아마존의 주가도 2%가량 상승 중이다. S&P500지수 내 기술, 임의소비재, 통신 관련주가 오르고, 유틸리티, 부동산, 자재 관련주는 하락 중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