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미국 뉴욕증시, 국채금리 하락 전환에 상승랠리 나스닥-반도체 1%대 급등
마이크로소프트가 2.2%, 엔비디아 1.3%, 애플 1.0%, 아마존닷컴 0.5%,
AMD 0.4%, 메타 0.9%, 구글의 알파벳 0.7%, 넷플릭스가 2.0% 상승
다만 테슬라는 0.2% 하락세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3-11-21 03:42:53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국채금리가 하락세로 전환한 가운데 주가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기분 좋은 한 주의 출발을 알렸다. 이날 나스닥 지수를 비롯해 S&P500 지수와 반도체 지수는 5일 연속 상승랠리를 펼치고 있다.
2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시 57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0포인트(0.57%) 오른 35,147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포인트(0.72%) 상승한 4,546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52포인트(1.08%) 상승한 14,278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51포인트(1.37%) 오른 3,799를 가리키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2.2% 상승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1.3%, 애플 1.0%, 아마존닷컴 0.5%, AMD 0.4%, 메타 0.9%, 구글의 알파벳 0.7%, 넷플릭스가 2.0% 상승하고 있다. 다만 테슬라는 0.2%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 들어 2년물을 제외한 대부분이 하락세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후 1시 3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19%포인트(1.9bp) 내린 4.422%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04%포인트(0.4bp) 상승한 4.911%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오전 11시 14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5포인트(0.27%) 오른 35,042를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포인트(0.41%) 상승한 4,533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07포인트(0.76%) 상승한 14,232를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29포인트(0.80%) 오른 3,778을 가리키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2% 상승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1.0%, 애플 0.7%, 아마존닷컴 0.5%, AMD 0.8%, 메타 1.2%, 구글의 알파벳 0.4%, 넷플릭스가 1.0% 상승하고 있었다. 다만 테슬라는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미국 국채금리는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24%포인트(2.4bp) 오른 4.465%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08%포인트(0.8bp) 상승한 4.915%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앞서 오전 10시 26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3.09포인트(0.18%) 오른 35,010.37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95포인트(0.20%) 상승한 4,522.97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3.13포인트(0.38%) 뛴 14,178.61을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주는 오는 23일 추수감사절 연휴로 금융시장이 휴장하며 24일에는 조기 폐장한다. 통상 추수감사절 연휴 주간에는 시장의 변동성이 컸다. 지난주 3대 지수는 모두 2%가량 오르며 반등세를 이어갔다.
10년물 국채금리가 최근 4.5% 아래로 떨어지면서 고금리에 대한 부담이 크게 완화됐다. 여기에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완화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내년 금리 인하 기대가 커졌다.
미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이르면 내년 5월에 첫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5월까지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58.6%,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39.4%에 달한다.
이날 발표된 경기선행지수는 여전히 미국이 침체에 직면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10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보다 0.8% 하락했다. 이는 19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전달 수치와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0.7% 하락보다 부진한 것이다. 경기선행지수가 19개월 연속 하락한 것은 2007년 말~2009년 대침체 기간이 마지막이었다.
콘퍼런스보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소비지출의 위축으로 미국 경제가 매우 짧은 침체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에 나올 인공지능(AI)의 대표적 수혜주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도 주목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오는 21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올해 들어 200% 이상 올랐다.
S&P500지수 내 에너지, 기술, 통신, 헬스, 산업 관련주가 오르고,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임의소비재, 금융관련주는 하락 중이다. 개별 종목 중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 최고경영자(CEO)였던 샘 올트먼이 자사의 새로운 AI팀을 이끌 것이라는 소식에 2%가량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완화적 통화 환경에 대한 기대가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주 거래량이 줄어 시장의 변동성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터렉티브 인베스터의 리처드 헌터 시장 담당 대표는 "시장이 완화된 통화 환경에 계속 수혜를 보고 있다"며 "최근 나온 인플레이션 지표는 금리 인상 주기가 끝났다는 시각에 강하게 부합하며 연준이 경제를 연착륙 궤도에 올릴 수 있다는 희망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추수감사절 연휴로 거래일이 줄고, 발표되는 지표가 거의 없지만, 블랙프라이데이를 통해 현재의 소비자 수요를 확인하고, 연말 연휴 시즌에 돌입하면서 약간의 탄력이 붙기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 리서치 대표는 "우호적인 계절적 상황, 인플레이션 하락에 대한 자신감 증가, 전반적인 투자자들의 회의론 등을 고려할 때 이번 주 시장은 위쪽으로 치우쳐 있다"며 다만 "연휴 주간에는 많은 기관 투자자들이 데스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이러한 상황이 시장 움직임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