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관세전쟁 불확실성 완화에 국제유가 급등 WTI 61달러, 천연가스는 강보합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02달러(0.06%) 오른 3.559달러
WTI는 전장보다 1.43달러(2.38%) 뛴 배럴당 61.50달러에 거래 마쳐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5-04-12 05:27:33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11일(현지시간) 관세전쟁의 불확실성이 다소 가셨다는 안도감에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현상이 일어났다. 이에 국제 유가는 급등했고 천연가스 가격은 강보합을 나타냈다.
먼저 뉴욕 유가는 2% 넘게 급등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불확실성으로 급등락이 펼쳐진 끝에 유가는 결국 소폭 하락한 수준으로 한 주를 마무리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43달러(2.38%) 뛴 배럴당 61.5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이날 6월 인도분 가격이 전장보다 1.43달러(2.26%) 오른 배럴당 64.76달러에 마무리됐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중국은 이날 미국에 대한 관세를 총 125%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재산정한 데 따른 조치다. 하지만 시장은 중국의 재보복 조치가 나왔음에도 오히려 원유 매수세에 박차를 가했다. 미국과 중국이 더는 관세를 높이지 않기로 하면서 적어도 두 나라 사이의 관세율만큼은 불확실성이 해소됐기 때문이다.
이제 양국의 협상 결과에 따라 양국의 무역전쟁은 격해질 수 있고 무역 감소와 무역 경로 혼선으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불확실성이 거의 해소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시장은 일단 단기적으로 지금보다 더 불확실한 상황은 없을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이른바 '관세 프라이싱'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만큼 원유 시장은 위험 선호 심리를 회복하며 또 다른 변수를 따져볼 것으로 예상된다.
어게인캐피털의 존 킬더프 파트너는 "미국이 지정학적 위험 요소로 부상하는 것은 시장에 새로운 현상"이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처럼 체스판의 판도가 재편될 것"이라고 말했다. 삭소뱅크의 올레 한센 상품전략 총괄은 "중국을 제외한 일부 관세의 시행이 90일 연기됐으나 시장은 이미 피해를 보았고 가격은 안정을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전날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관세가 유가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EIA는 올해와 내년 미국 및 세계 석유 수요 전망치도 하향 조정했다.
미국인들의 소비심리는 또다시 악화했고 기대 인플레이션은 급등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0.8로 집계됐다. 지난 3월 확정치 57.0에서 6.2포인트 감소한 수치이자 시장 예상치 54.5도 크게 밑돈 수치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예비치는 6.7%로 3월의 5.0%에서 또 급등했다. 1981년 이후 최고치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강보합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시간 12일 오전 4시 53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02달러(0.06%) 오른 3.559달러를 가리키고 있다. 앞서 11일 오전 4시 20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81달러(7.36%) 급락한 3.535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난 10일 오전 4시 44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80달러(8.08%) 급등한 3.745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9일 오전 4시 52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66달러(4.54%) 급락한 3.489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8일 오전 5시 40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00달러(5.21%) 급락한 3.637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지난 5일 오전 2시 42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284달러(6.86%) 급락한 3.854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