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 'SVB 파산에 금리 인상 없다'는 판단에 나스닥 등 상승
국채 금리는 일제히 폭락 수준으로 하락한 채 거래
김완묵 기자
kwmm3074@hanmail.net | 2023-03-14 00:32:06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실리콘밸리뱅크(SVB)와 시그니처은행의 파산에 이어 또 다른 지역 은행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에도 나스닥을 비롯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1시 53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5포인트(0.55%) 오른 32,084를 기록 중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5포인트(0.66%) 상승한 3,88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37포인트(1.23%) 뛴 11,276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7포인트(0.60%) 상승한 2,941을 기록하고 있다.
같은 시간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3.0% 급등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1.0%, 마이크로소프트 3.0%, 아마존닷컴 2.5%, AMD 0.5%, 메타 1.7%, 구글의 알파벳 1.6%, 넷플릭스가 1.9% 상승하고 있다. 다만 테슬라는 0.5%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현지시간 오전 11시 39분 현재 일제히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10년물이 전날보다 0.186%포인트(18.6bp) 급락한 3.509%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452% 폭락한 4.136%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앞서 오전 10시 8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4.56포인트(0.67%) 오른 32,124.20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03포인트(0.31%) 상승한 3,873.62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2.37포인트(0.47%) 뛴 11,191.25를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SVB와 시그니처은행의 파산에 따른 금융시장 여파,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3월 금리 인상 가능성 등을 주시하고 있다.
개장 초 선물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 시장이 개장 이후 빠르게 안정을 찾고 있다. 다만 지역 은행들의 주가가 폭락하고 있어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실리콘밸리의 SVB가 파산한 이후 디지털 자산과 상업 부동산 등에 집중해온 시그니처 은행도 파산하며 투자 심리가 악화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은행 파산이 나온 후 다른 은행들도 연이어 파산하면서 제2의 SVB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지원을 약속하고, 신속하게 위기를 차단하려고 애쓰면서 불안은 다소 완화됐다.
주말 동안 연준과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SVB와 시그니처 은행의 고객 예치금을 보험 한도와 상관없이 전액 보증하고, 유동성이 부족한 금융기간을 지원하기 위한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 Bank Term Funding Program)'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이날 개장 전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 은행 시스템이 안전하다고 안심해도 된다"라며 "우리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필요한 어떤 일이든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같은 파산 사태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의회와 금융당국에 관련 규제를 강화하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실리콘밸리 소재 다른 은행인 퍼스트 리퍼블릭의 주가가 뱅크런 우려로 70%가량 폭락한 후 거래 중단됐다. 전날 퍼스트 리퍼블릭이 연준과 JP모건체이스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아직 쓰지 않은 가용 유동성이 700억달러로 늘었다고 밝혔다는 소식도 주가 하락을 막지 못했다.
금융기관 찰스슈왑은 주가가 폭락세를 보이자,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충분한 유동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이날 성명을 통해 충분한 유동성이 있어 미실현 손실이 난 만기보유(HTM) 증권을 전혀 매각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찰스슈왑의 주가는 장중 20% 이상 폭락 중이다.
공포지수로 통하는 변동성지수(VIX) 13%가량 올라 28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최고치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국채가격은 급등세다.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는 급락하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20bp 이상 하락하며 3.49% 근방에서 거래됐다. 장중 최저 3.43%까지 밀렸다. 2년물 국채금리는 50bp 이상 떨어지며 4.08% 근방에서 거래됐다. 이는 한때 3.98%를 기록하며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2년물 금리는 지난 8일 5%를 돌파했다가 3거래일만에 3% 후반까지 밀린 셈이다.
금융시장 불안에 연준이 3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도 커졌다. 미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연준이 3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7%로 전날의 60% 수준에서 크게 높아졌다.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0%로 전날의 40%에서 떨어졌고, 동결 가능성도 12%까지 새롭게 부상했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금융시장 불확실성으로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점쳤다. 특히 연준의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채권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미실현 채권 손실에 대한 투자자들의 의구심이 커지면서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준의 긴축에도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되고 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당국의 조치가 효과를 낼지 주시하고 있다며, 이번 사태로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우려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수잔나 스트리터 시장 담당 책임자는 "SVB 붕괴 이후 주말 동안 전이 위험을 억제하기 위해 치열한 협상 끝에 백기사들이 구조에 나서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SVB 파산 여파를 막기 위한 규제 조치가 변동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지를 숨죽이며 주시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당국의 과감한 조치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 리서치 담당 대표는 "연준의 대응이 잠재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연준이 계속 금리를 올리면 은행 사업의 스트레스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스타트업에 대한 피해는 연준이 금리 인상 없이 고용 성장을 둔화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시 말해 연준이 더 높게 더 오래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조에서 인상 중단 가능성으로 이동할 수 있다며 이는 초기 여진이 지나가면 올해 남은 기간 주가가 긍정적일 수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